▲ 참고자료 : 경희대학교 미래대학리포트(2015), 조사대상 : 재학생 1만여명
▲ 수록 숫자는 반올림되었기 때문에 개별 숫자와 합계의 불일치 경우가 있으며, 이미지는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음
■ 대학교육을 받는 이유
응답자의 절반이상은 대학교육을 받는 이유로 취업대비(34.3%)와 학벌(21.8%)을 꼽았으며, 대학의 본질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는 학문탐구(18.9%)와 가치관형성(15.4%)은 상대적으로 적게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.
■ 현재대학이 추구하는 가치와 미래대학이 추구해야할 가치 비교
응답자들은 미래대학이 추구해야할 가치로 “자아성찰 강조”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, 그 다음으로 “진리탐구”를 꼽았다. 하지만, 현재 국내외 대학들이 추구하는 가치로는 “전공지식 전수”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, 그 다음으로 “취업역량 제고”를 꼽아, 응답자들이 대학에 기대하는 것과 현재 대학들이 추구하고 있는 것과의 차이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. 특히, 미래대학이 추구해야할 가치로 가장 많이 꼽힌 “자아성찰 강조”의 경우, 현재대학보다 4.3배 높게 나타났다.
■ 50년 후 대학평가의 핵심요소
50년 후에 대학평가가 필요하다면 그 평가의 중요한 핵심요소는 “교수와 학생관계”일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, 현재대학에서 중요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취업률은 적게 나타나, 이를 통해 학생들이 대학에 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유추할 수 있었다.
작성 : 민유리(교육통계센터 연구원) | yulesam62@gmail.com, 02)797-4044~6(내선 505) | 게시물 활용시 출처 필수 기재
'대상별 교육통계 > 고등교육(대학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6학년도 대입전형 정시모집 비율 감소추세 (0) | 2015.11.13 |
---|---|
40개 국공립대학 외국인교수 43.1%, 한국 출생 (0) | 2015.09.25 |
미래대학이 추구해야할 가치, “자아성찰 강조” (0) | 2015.08.31 |
서울 주요15개 대학 2017학년도 대입전형 분석 (0) | 2015.07.23 |
고등교육기관 진학률 및 입학정원 추이 (0) | 2015.07.14 |
대학 졸업생의 연령별·성별 분포 (0) | 2015.06.22 |
댓글을 달아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