▲ 참고자료 :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「대학진학에서의 계층격차: 가족소득의 역할(2015)」
▲ 조사대상 : 서울아동패널(2004~2014), 2014년 대학진학 결과 추적한 895명
▲ 수록 숫자는 반올림되었기 때문에 개별 숫자와 합계의 불일치 경우가 있으며, 이미지는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음
■ 고교시기 가구소득대비 대학진학 결과
조사결과, 저소득층의 경우, 미진학 25.8%, 2~3년제 진학 34.8%, 4년제 진학 39.3%로, 중간층의 경우, 미진학 7.9%, 2~3년제 진학 33.8%, 4년제 진학 58.3%로, 고소득층의 경우, 미진학 6.1%, 2~3년제 진학 21.0, 4년제 진학 72.9%로 나타났다. 즉, 소득이 낮을수록 미진학률이 높았고, 소득이 높을수록 4년제 진학률이 높았다. 또한, 4년제 대학 진학률만 살펴보면,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은 33.6%p 차이, 중간층과 고소득층은 14.6%p 차이인 것으로 나타나, 소득이 대학진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.
※가구소득 : 가족규모를 반영한 “월평균 가구소득/가구규모별 최저생계비”
■ 고교시기 가구소득대비과 학업성취점수 대비 대학진학 결과
학생 성적이 높을 때 고소득층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90.8%였으나,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률은 75.6%였고, 학생 성적이 중간일 때, 고소득층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5.1%였으나,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률은 39.0%였으며, 학생 성적이 낮을 때, 고소득층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42.0%였으나,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률은 25.0%로 나타났다.
※성적 : 학력평가문제지를 이용한 객관적 학업성취도 점수 사용
작성 : 민유리(교육통계센터 선임연구원) | yulesam62@gmail.com, 02)797-4044~6(내선 505) | 게시물 활용시 출처 필수 기재
'대상별 교육통계 > 고등교육(대학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반고에 유리한 학생부 종합전형 (0) | 2016.05.04 |
---|---|
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른 수능점수 차이, 43.42점 (0) | 2016.02.04 |
4년제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소득 (0) | 2016.01.18 |
10년간 대졸·전문대졸 79만명 초과공급 전망 (0) | 2015.12.18 |
2016학년도 대입전형 정시모집 비율 감소추세 (0) | 2015.11.13 |
40개 국공립대학 외국인교수 43.1%, 한국 출생 (0) | 2015.09.25 |
댓글을 달아 주세요